[육종]만능해결사 하이라인브라운 - 자료출처:한양아카데미22호

관리자


만능해결사 하이라인브라운®

- 한양 아카데미 22호 -


  2020년 여름부터 오르기 시작한 세계 곡물 가격은 작년 봄부터 급격히 사료 가격에 반영되고 있으며, 그 사이 불확실한 국제정세로 인해 사료 원료의 증가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0-2021년 고병원성 인플루엔자로 인해 주춤하던 산란계 초생추 입식은 작년 하반기부터 활발히 증가하여, 2021년 하반기 평균 월 440만수의 초생추가 입식된 것으로 파악됩니다. 2022년 여름 계란 생산에 신규 계군의 비중이 빠르게 올라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에 의한 생산성 저하와 아직 적체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 노계의 도태에 따라 얼마간의 변동성이 예상됩니다. 높은 사료가격과 인건비 상승에 의한 생산비 부담으로 인해 계군의 생산성이 좋지 않다면 자칫 매출이 생산비에 미치치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양가는 생산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철저히 파악하여 이를 예방하고 개선할 때입니다.


  이번 한양아카데미 22호에서는 대한민국에서 수집된 객관적인 자료를 토대로, 하이라인브라운®의 품종 적합성과 우수성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좀더 요약된 자료를 원하신다면, 한국양계 홈페이지 > 전자도서관, 기획기사 코너의 카드뉴스1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첫째! 꼭 필요한 사료를 꼭 필요한 만큼만  

    하이라인브라운®은 육성 초기 증체가 탁월합니다. 

  육성 초기는 소화기관과 면역기관이 주로 발달하는 시기이며, 근골격계가 성장을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이 시기의 육성 성과가 곧 좋은 성적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꼭 기억해주세요. 하이라인브라운®은 3주간의 초이사료(Starter 1) 급이로도 3주령 목표체중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반면, 타 품종은 동일한 조건에서 증체가 쉽지 않습니다(그림 1). 중요한 시기 증체를 놓치면 결과를 만회하는데 더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하이라인브라운®은 큰병아리사료(Developer diet)를 권장합니다. 

  목표체중이 잘 달성되는 하이라인브라운®에 중병아리보다 영양소 밀도가 낮은 큰병아리사료를 급이하면 사료섭취를 더 자극하고 소화기관의 용적을 늘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중병아리사료보다 섬유질이 풍부하여 장운동을 촉진시킵니다. 큰병아리사료 급이기간은 점등자극 이후 섭취량이 빠르게 높아져야하는 기간을 대비하는 준비기간입니다. 

  큰병아리사료는 생산비 절감에 도움이 됩니다. 초이사료와 큰병아리사료를 각각 3주씩 급이하는 하이라인브라운®과 초이사료를 5주간 급이하고 산란예비사료전까지 중병아리사료를 급이하는 타품종 간의 생산비용 차이는 수당 70~80원 수준으로 3회 정도의 백신 접종 인건비에 해당됩니다(그림 2). 향후 꼭 접종하여야 할 신규 저병원성AI 백신을 추가할 수 있는 비용입니다.



  1. 둘째! 빠른 산란피크. 높은 초산난중에 사료비용 절감까지.

         하이라인브라운®은 빠르게 산란피크에 도달합니다.  

  육성기간 체성숙이 용이한 하이라인브라운®은 100~105일령 이내 권장점등자극 체중에 도달하며, 점등자극 후 평균 28일 만에 산란율 50%를 달성합니다. 하이라인브라운®은 성품이 온순하여 시산스트레스를 잘 극복하므로 점등자극부터 산란피크기간까지 사료 섭취량을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그림 4). 산란계의 품종에 관계없이 시산시기는 산란의 개시, 체중의 증가, 난중의 증가가 동시에 일어나는 기간이기 때문에 섭취량이 빠르게 증가하여야 하는 시기입니다.

 산란피크 기간에 뒷쳐진 산란숫자는 대부분의 경우 생산 전기간 내 만회하기 어렵습니다(그림 3).

 

         하이라인브라운®은 높은 초산난중을 자랑합니다.

  80여년의 오랜 육종기간 동안 하이라인은 지속적으로 시산초기 난중이 우수한 개체를 선발해 왔습니다. 25주령 난중이 타품종 대비 3g의 차이를 나타내며(그림 5), 초기에 빠르게 왕특란 비율이 높아집니다. 반면, 후기 난중은 타 품종과 유사한 난중을 나타냅니다. 하이라인브라운®은 한국 시장 적합 난중인 63~64g을 유지하면서 더 커지지 않도록 지속 개량되고 있습니다.

 시산 난중이 작은 품종이 큰 시산 난중을 유도하려면 어쩔 수 없이 점등자극을 늦게 미룰 수 밖에 없으며 그 결과 산란개시가 늦어져 수익성이 떨어집니다. 

반면, 시산 난중이 높은 하이라인브라운®은 유통 선호 난중에 따라 점등자극 일령을 앞당김으로써 빠른 시산을 유도할 수 있어 농장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그림 6).